미얀마 군부 쿠데타 발생이유와 해결방안은?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미얀마 군부 쿠데타 발생이유와 해결방안은?

by 현모앤아치 2021. 3. 31.

미얀마 군부는 '작년 11월 치러진 선거가 부정선거였다'는 이유로 2월 1일 쿠데타를 일으켜 국가 고문인 아웅산 수치가 이끄는 정부를 몰아냈습니다. 이에 독재를 타도하고 민주주의를 지키고자 평화시위대가 연일 쿠데타 반대 시위를 하고 있는데 현재까지 미얀마 군부의 유혈 진압으로 발생한 사망자가 500명을 넘어설 것으로 보입니다. 

 

미얀마 군부 쿠데타를 보면서 1979년에 우리나라에서 일어났던 12·12 쿠데타가 떠올랐습니다. 신군부 세력은 1212 군사반란을 일으켜 권력을 장악하게 되었고 국민들은 군사독재시대를 살아야 가야 했습니다.  신군부의 탄압정치에 민주주의에 대한 열망은 더 커져갔고 학생들의 시위가 연일 이어졌었습니다. 이에 신군부는 1980년 5월 17일 비상계엄령을 선포하고 시위대를 잔악무도하게 살인하였습니다. 그때 얼마나 많은 사람들의 목숨을 잃었는지 우리는 너무나 잘 알고 있습니다. 미얀마 군부 쿠데타로 인해 미얀마의 무고한 시민들이 죽어가는 뉴스를 접할 때마다 가슴이 너무나 아픕니다. 

 

 미얀마 군부는 미얀마 국군의 날인 미얀마의 현지시간인 3월 27일에 쿠데타를 반대하는 시위대를 무차별, 야만적 폭력으로 진압하여 다수의 비무장 민간인의 목숨을 앗아갔습니다.  이에 우리 정부는 28일 강력한 규탄 성명을 내고 '우리 정부는 미얀마 국민의 민주주의를 향한 투쟁을 지지하며 미얀마 자국민에 대한 미얀마 군부의 잔악무도한 폭력을 중단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또한 국제사회와 긴밀히 협력, 도모하여 미얀마 군부의 쿠데타 사태를 해결해나가는 데 책임 있는 역할을 해나갈 것임을 밝혔습니다. 

 

AP통신, 미얀마 나우 등 외신은 국군의 날에 미얀마 군부에 의해 쿠데타 반대 평화 시위자들인 민간인 사망자가 최소 114명에 이를 것으로 보도했습니다. 이 사망자 가운데 어린이들이 다수 포함되어있다는 소식에 국제사회는 슬픔에 잠겼고 또한 미얀마 군부에 대한 분노가 더 커지고 있습니다.

 

프랑스 등 각국은 쿠데타에 대해 규탄 성명을 내놓고 있습니다. 국제 구호개발 비정부기구 세이브 더 칠드런,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 도미니크 라브 영국 외무장관, 미얀마 주재 유럽연합 대표단 등 여러 단체와 인사들도 SNS 등을 통해 미얀마 군부의 비무장 민간인, 어린이들에 대한 살인 행위를 규탄하고 있습니다.  

 

각국과 단체들의 미얀마 군부 쿠데타 유혈사태에 대한 규탄 성명만으로는 폭주하고 있는 미얀마 군부를 압박하기에는 역부족입니다. 미국은 교역 중단 등 돈줄 끊기에 나서고 있지만 대미 무역 의존도가 그리 높지 않은 미얀마의 군부의 폭주를 막기 위한 실질적인 효과는 없어 보입니다. 중국과의 교역이 30% 이상에 달하는 미얀마에서 돈줄 죄기의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중국이 나서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유엔 안정 보장 이사회(안보리)에서 미얀마 군부 쿠데타 해결을 위한 결의안을 내놓는 것이 가장 실효적인 해결책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안보리 상임이사국에 포함된 러시아와 중국의 반응은 긍정적이지 않습니다. 중국과 러시아는 3월 27일 미얀마 국군의 날 기념식에 참석까지 했습니다. 중국은 미얀마의 민주주의와 상관없이 미얀마를 다른 강대국을 견제하는 완충지대로서의 역할로 중국의 영향권 아래 두기 원하기 때문에 지금 권력을 차지한 미얀마 군부와의 관계를 악화시킬 필요성이 없어 보입니다.

 

 

미얀마 군부 쿠데타 반대 시위 지지를 호소하는 미얀마 여성

 

현재로서는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국제사회가 미얀마 국민들의 민주주의에 대한 열망에 지지를 하고 끊임없이 관심이 있다는 것을 보여줘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우리나라도 겪었던 슬픈 역사가 미얀마에서도 반복되고 있다는 것에 참으로 가슴이 아픕니다. 미얀마에서 군부 쿠데타로 더 이상 소중한 목숨들을 잃지 않고 사랑하는 가족들을 잃는 사람들이 없기를 바랍니다. 

 

'미얀마 세손가락 경례' 의미, 미얀마 반독재 시위를 지지합니다.

'미얀마 세손가락 경례' 의미, 미얀마 반독재 시위를 지지합니다.

미얀마 군부의 평화시위대를 향한 강경진압으로 인해 반권위주의, 반독재주의를 외치는 미얀마의 시위대 사망자의 수는 연일 늘어나고 있습니다. 미얀마와 관련된 뉴스 보도를 통해 미얀마 시

happysasuri.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