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춘 그리고 입춘대길(입춘 추위는 꿔다도 한다)
벌써 봄의 시작인 입춘이네요. 2021년 2월 3일은 올해의 입춘입니다. 입춘을 맞이하려는데 한파가 찾아왔습니다. 그래도 곳곳에 새싹이 돋아날 것 같고 햇볕도 더 따스한 것 같고 봄이 조금은 느껴지는데요.
24절기 중 첫 번째 절기인 입춘 하면 떠오르는 것이 입춘대길(立春大吉), 건양다경(建陽多慶)입니다. 입춘대길, 건양다경은 봄이 시작되어 경사스럽고 길한 일들이 많이 생기기를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예부터 우리 조상들이 입춘을 맞이하며 집안의 안녕과 번영, 길상, 장수를 기원하며 집안 여러 곳에 입춘축(입춘첩)을 써 붙였습니다.
입춘대길, 건양다경 외에도 다른 입춘문들이 있다고 하네요. '개문만복래 소지황금출'(開門萬福來 掃地黃金出)는 문을 열면 복이 들어오고 땅을 쓸면 황금이 나온다는 의미이고, '부모천년수 자손만대영' (父母千年壽 子孫萬代榮)'은 부모는 천년 장수하고 자식은 만대까지 번영하라는 의미이고, '국태민안 가급인족'(國泰民安 家給人足)은 나라는 태평하고 백성은 평안하며 집집마다 넉넉하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입춘에 관련한 속담도 많은데요. '입춘추위는 꿔다도 한다'는 입춘이지만 날씨가 춥고 입춘 무렵에는 추위가 찾아온다는 의미이고 '입춘에 장독(오줌독)깨진다는 입춘 무렵의 추위가 너무 강해 장독(오줌독)이 얼어서 깨진다는 의미의 속담입니다. 정말 맞네요. 입춘즈음되니 추위가 찾아왔습니다.
계절 |
절기 |
일자 |
내용 |
봄 |
입춘(立春) |
02.03~04 |
봄의 시작 |
우수(雨水) |
02.18~19 |
봄비 내리고 싹이 틈 |
|
경칩(驚蟄) |
03.05~06 |
개구리 겨울잠에서 깨어남 |
|
춘분(春分) |
03.20~21 |
낮이 길어지기 시작 |
|
청명(淸明) |
04.04~05 |
봄 농사준비 |
|
곡우(穀雨) |
04.20~21 |
농사 비 내림 |
|
여름 |
입하(立夏) |
05.05~06 |
여름 시작 |
소만(小滿) |
05.21~22 |
본격적 농사 시작 |
|
망종(芒種) |
06.05~06 |
씨 뿌리기 시작 |
|
하지(夏至) |
06.21~22 |
낮이 연중 가장 긴 시기 |
|
소서(小暑) |
07.07~08 |
더위 시작 |
|
대서(大暑) |
07.22~23 |
더위 가장 심함 |
|
가을 |
입추(立秋) |
08.07~08 |
가을 시작 |
처서(處暑) |
08.23~24 |
더위 식고 일교차 큼 |
|
백로(白露) |
09.07~08 |
이슬 내리기 시작 |
|
추분(秋分) |
09.22~23 |
방이 길어지는 시기 |
|
한로(寒露) |
10.08~09 |
찬 이슬 내리기 시작 |
|
상강(霜降) |
10.23~24 |
서리가 내리기 시작 |
|
겨울 |
입동(立冬) |
11.07~08 |
겨울 시작 |
소설(小雪) |
11.22~23 |
얼음이 얼기 시작 |
|
대설(大雪) |
12.07~08 |
겨울 큰 눈 옴 |
|
동지(冬至) |
12.21~22 |
밤이 연중 가장 긴 시기 |
|
소한(小寒) |
01.05~06 |
겨울 중 가장 추울 때 |
|
대한(大寒) |
01.20~21 |
겨울 큰 추위 |
입춘이 지나면 봄비가 내리고 싹이 튼다는 우수(雨水)가 찾아오고 개구리가 겨울잠에서 깨어나는 경칩(驚蟄)이 오면 정말 봄이네요.
올해는 유난히 더 따스한 봄이 기다려집니다. 입춘대길을 마음에 써붙이며 올해는 좋은 일들만 생기길 바랍니다.
봄맞이 춘분과 청명(사월 달 부지깽이는 땅에 꽂아도 순이 난다)
봄맞이 춘분과 청명(사월 달 부지깽이는 땅에 꽂아도 순이 난다)
봄맞이 춘분과 청명(사월 달 부지깽이는 땅에 꽂아도 순이 난다) 아이의 하원 길에 아이가 나뭇가지에 달린 목련 봉오리를 발견하고 먼저 알려주었습니다. 두툼한 외투를 벗은 지 얼마 지나
happysasuri.tistory.com
댓글